김희철 ‘우보주책’ 대표의 전통주 비책
양평의 자연으로 빚은 막걸리 소주 양조장
[내외뉴스통신] 이점석 기자
김희철 대표는 은행원 시절부터 전통주에 대한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경기도 양평군 소재 농업회사법인 우보주책(牛步酒策)은 막걸리와 소주 양조장 이름이다. ‘소걸음으로 천천히 전통주의 비책을 찾겠다’는 김희철 대표의 의지가 들어간 브랜드다.
“저는 술에 대한 관심이 많았어요. 십년 전부터 술문화원 향음이랑 같이 어울리며 마셨죠. 우리 술 문화와 역사 전통이 어떻게 흘러왔는지, 어떻게 세계화 하는지 이런 이야기들을 나누는 편이었는데, 저희는 사실 비누부터 시작했습니다.”
김 대표 아내가 취미로 비누를 만들다가 기능성 있는 비누를 만들기 위해 막걸리 지게미에 눈을 돌렸다. 아내는 식품영양학 박사 출신으로 현업에 있다. 그의 조카 또한 미생물 박사로서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찌게미도 전통기법으로 빚는 게 좋아요. 첨가물이 들어가면 좋지 않거든요. 좋은 찌게미 구하러 양평을 다니다가 전통주 만드는 사람에게 얻어다 썼죠. 그러다가 우리가 직접 막걸리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김 대표는 은행가 출신이다. 한 때는 위스키와 중국 백주를 즐겨 마셨다. 88올림픽 때 조직위원회에 파견나가 있었다. 외국 기자들이 많이 오는데 전통주에 대한 인식이 미비했다고 한다.
“한 나라가 성장해가면 음식 문화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음식 문화의 최정점이 술인데, 우리나라 술이 뭐 마땅한 게 없었어요. 그때부터 우리 술문화원이랑 같이 공부하다 보니까 우리나라가 이렇게 많은 술이 있었는데 일제시대 때 다 없어졌구나 하는 걸 알게 됐죠.”
우보주책의 술은 식품영양학 박사인 부인 도움으로 완성도가 높다.
김 대표 사위가 외교관이다 보니 딸도 이태리에서 살고 있다. 딸이 대사관에서 행사를 할 때 한국에서 누룩 가져가서 막걸리를 담가 마셨다. 반응이 좋았다고 한다.
무역회사에서 바이어들이 오면 우보추잭 증류주인 양평밀 소주를 먹고 감탄한다는 것이다. 멕시코 사람들이 데킬라 가지고 자랑하다 밀소주를 먹어보면 한국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바이어들이 출국할 때 선물로 주면 그렇게 좋아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막걸리에 대한 트렌드가 점점 바뀌고 있다. 지난 11월15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국내 최대 전통주 행사인 ‘2024 대한민국 우리술 대축제’에서 우보주책 막걸리는 젊은층의 호응을 받았다.
행사장에는 사흘동안 MZ 세대들이 대거 몰렸다. 이들은 프리미엄 막걸리에 관심이 많았다. 인공감미료난 천연감미료 없이 은은한 산미와 밀도 높은 맛을 선호했다. 우보주책이 그 트렌드에 잘 맞는 술이었다.
전통주에 관심 많은 젊은이들과 어울리는 게 김 대표의 즐거움이다.
감미료 없이 단맛 나는 막걸리
김 대표는 전통주가 자꾸 이렇게 트렌드에 너무 쫓아가는 것도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상업적으로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김 대표는 그냥 자기 방식대로 하겠다는 것이다. 전통주 양조인들이 많아질수록 술도 다양해진다. 돈 벌어서 회사가 커지는 것도 아니고 먹고 살 정도만 되면 된다는 것이 김 대표의 생각이다.
“제가 은행에서 근무할 때 대통령 만찬주를 제공했다는 양조장 대표가 찾아와 대출을 해달라고 그래요. 이걸로 홍보하니까 잘 될 것 같아서 시설을 확장하는 거죠. 그런데 지속이 안되는 경우를 봤어요. 전통주가 이렇게 가서는 안되겠다 싶더라구요. 저는 천천히 가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요즘에는 전통주에 관심있는 젊은이들이 많다. 농촌으로 들어가서 살아야겠다는 사람도 많다. 김 대표 주변에도 양조장 차리려고 준비하는 사람도 있다. 그럴 때 그가 하는 말이 있다.
“양조장 차리기 시작하면 준비하는 기간이 길잖아요. 그 사이에는 뭐 먹고 사니, 그러지 말고 나한테 와 나랑 같이 해. 필요하면 내가 지분을 줄 테니까 그러죠. 젊은 친구들 오면 같이 여기서 일하고 어우러져서 내가 월급 줄 돈이 없으면 자기도 같이 투자하든지 하여간 그 규모는 돼야겠죠. 그러면 자기가 자기가 농사도 짓고 그리고 술을 만들고 그 실험을 나랑 같이 하다가 이제 할 만하다 그러면 독립해 나가는 겁니다. 예전에 도재 직인 이런 거 있잖아요. 그런 문화를 살려보고 싶어요.”
우보주책이 생산하는 밀 막걸리
김 대표는 양조장을 운영하며 수익에 그렇게 연연해 하지 않는 분위기다. 지금은 적자 운영이지만 거꾸로 계산하면 적자가 아니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내가 젊은 친구들이랑 술 먹으려면 한 달에 일 이백만원 써야죠. 젊은 층과 어울리는데 여기 오면 같이 어우러지잖아요. 내가 1200만원 까먹어도 나는 본전이잖아요. 지금 제 나이에 앞으로 한 10년만 더 크게 이렇게 고생 안 하고 고생 크게 일 벌이지 않고 같이 젊은 층에 어울려서 술도 먹고 뭐 이야기도 나누고 기분 나면 섹스폰도 한 곡씩 불어주고 이렇게 살면 사는 맛이 나잖아요.”
그의 양조장은 세미나실이 되기도 하고 막걸리 실습장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축제장이 되기도 한다. 젊은 친구들이 안주를 들고 찾아오면 1인당 2만원 내고 술 마시고 대화하고 놀다 간다. 양조장 한 켠에 그가 사용하는 섹소폰이 반작거리고 있다. 양조장이 용문역 앞이어서 술꾼들에겐 좋은 입지조건이다.
그렇다고 그가 마케팅에 문외한이 아니다. 그는 외환은행 근무 당시 프라이빗 뱅킹 전문가였다. 상류층 문화에 익숙하다. IMF 직후 01%에 해당하는 상류층을 상대로 뮤지컬 공연과 와인문화를 보급하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부자 대상 마케팅이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 대표가 만드는 지역특산주로 만드는 막걸리는 다섯 종류나 된다. 모두 양평산 농산물이다. 특히 양평에서 자라는 밀을 특화해서 양평밀 막걸리를 생산하고 있다. 밀 막걸리가 드문 것도 그가 다른 막걸리와 차별화시킨 장점이다.
밀이 아닌 재료는 흑미로 만든 흑미 마걸리가 있다. 보라색이 좋아서 선택한 쌀인데, 와인 향기가 감돌아 인기 상품이 되었다. 이 술들은 모두 2024년 초부터 생산된 것이다. 김 대표의 양조 역사는 짧지만 술에 대한 내공은 누구 못지 않다.
우보주책에서 생산하는 술 종류
양평밀 소주를 대표 브랜드로
밀은 얼마전 까지만 해도 막걸리의 주재료였다. 1965년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통해 쌀로 술을 빚지 못하게 되면서 밀막걸리는 쌀막걸리를 대신했다. 30년 정도 우리 막걸리를 대표하다가 1990년대 중반 쌀막리가 부활하면서 자취를 감췄다.
김 대표는 사라져 가던 밀을 주요 상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대표는 대표 아이템으로 삼은 것이다. 그가 생산하는 막걸리들은 시중에서 볼 수 있는 저가형 막걸리가 아니라 프리미엄 밀 막걸리다.
막걸리는 도수가 8도에서 16도까지 있다. 통곡물을 사용해 은은한 산미와 밀도감이 높다. 뻑뻑한 느낌의 양평밀 막걸리는 단맛의 여운이 감돌아 여성들에게 인기가 높다. 단양주 느낌이 들지 않는 막걸리다. 이 막걸리들은 발효 숙성에만 2~3개월이 들어간다. 8도 막걸리는 술과 찌개미를 걸러내는 제성 단계 후에 2차 숙성 과정을 거쳐 3개월이 소요된다. 숙성기간 동안 탄산까지 만들어져 음식과의 페어링이 좋은 막걸리다. 13도 막걸리는 안주 없이 와인처럼 술만 즐길 수 있는 향미와 질감이 느껴진다.
이제 밀막걸리는 양평 지역을 넘어 애주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지만 김 대표가 내세우는 대표 브랜드는 53도 짜리 양평밀 소주다. 양평의 통밀로 만든 증류식 밀소주는 쌀 소주의 맛과 함께 밀의 특성을 같이 즐길 수 있는 술이다.
chinalee007@naver.com
내외뉴스통신, NBNNEWS
이점석 기자 chinalee007@naver.com
> 기사 바로가기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7383
김희철 ‘우보주책’ 대표의 전통주 비책
양평의 자연으로 빚은 막걸리 소주 양조장
[내외뉴스통신] 이점석 기자
김희철 대표는 은행원 시절부터 전통주에 대한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경기도 양평군 소재 농업회사법인 우보주책(牛步酒策)은 막걸리와 소주 양조장 이름이다. ‘소걸음으로 천천히 전통주의 비책을 찾겠다’는 김희철 대표의 의지가 들어간 브랜드다.
“저는 술에 대한 관심이 많았어요. 십년 전부터 술문화원 향음이랑 같이 어울리며 마셨죠. 우리 술 문화와 역사 전통이 어떻게 흘러왔는지, 어떻게 세계화 하는지 이런 이야기들을 나누는 편이었는데, 저희는 사실 비누부터 시작했습니다.”
김 대표 아내가 취미로 비누를 만들다가 기능성 있는 비누를 만들기 위해 막걸리 지게미에 눈을 돌렸다. 아내는 식품영양학 박사 출신으로 현업에 있다. 그의 조카 또한 미생물 박사로서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찌게미도 전통기법으로 빚는 게 좋아요. 첨가물이 들어가면 좋지 않거든요. 좋은 찌게미 구하러 양평을 다니다가 전통주 만드는 사람에게 얻어다 썼죠. 그러다가 우리가 직접 막걸리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김 대표는 은행가 출신이다. 한 때는 위스키와 중국 백주를 즐겨 마셨다. 88올림픽 때 조직위원회에 파견나가 있었다. 외국 기자들이 많이 오는데 전통주에 대한 인식이 미비했다고 한다.
“한 나라가 성장해가면 음식 문화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음식 문화의 최정점이 술인데, 우리나라 술이 뭐 마땅한 게 없었어요. 그때부터 우리 술문화원이랑 같이 공부하다 보니까 우리나라가 이렇게 많은 술이 있었는데 일제시대 때 다 없어졌구나 하는 걸 알게 됐죠.”
우보주책의 술은 식품영양학 박사인 부인 도움으로 완성도가 높다.김 대표 사위가 외교관이다 보니 딸도 이태리에서 살고 있다. 딸이 대사관에서 행사를 할 때 한국에서 누룩 가져가서 막걸리를 담가 마셨다. 반응이 좋았다고 한다.
무역회사에서 바이어들이 오면 우보추잭 증류주인 양평밀 소주를 먹고 감탄한다는 것이다. 멕시코 사람들이 데킬라 가지고 자랑하다 밀소주를 먹어보면 한국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바이어들이 출국할 때 선물로 주면 그렇게 좋아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막걸리에 대한 트렌드가 점점 바뀌고 있다. 지난 11월15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국내 최대 전통주 행사인 ‘2024 대한민국 우리술 대축제’에서 우보주책 막걸리는 젊은층의 호응을 받았다.
행사장에는 사흘동안 MZ 세대들이 대거 몰렸다. 이들은 프리미엄 막걸리에 관심이 많았다. 인공감미료난 천연감미료 없이 은은한 산미와 밀도 높은 맛을 선호했다. 우보주책이 그 트렌드에 잘 맞는 술이었다.
전통주에 관심 많은 젊은이들과 어울리는 게 김 대표의 즐거움이다.감미료 없이 단맛 나는 막걸리
김 대표는 전통주가 자꾸 이렇게 트렌드에 너무 쫓아가는 것도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상업적으로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김 대표는 그냥 자기 방식대로 하겠다는 것이다. 전통주 양조인들이 많아질수록 술도 다양해진다. 돈 벌어서 회사가 커지는 것도 아니고 먹고 살 정도만 되면 된다는 것이 김 대표의 생각이다.
“제가 은행에서 근무할 때 대통령 만찬주를 제공했다는 양조장 대표가 찾아와 대출을 해달라고 그래요. 이걸로 홍보하니까 잘 될 것 같아서 시설을 확장하는 거죠. 그런데 지속이 안되는 경우를 봤어요. 전통주가 이렇게 가서는 안되겠다 싶더라구요. 저는 천천히 가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요즘에는 전통주에 관심있는 젊은이들이 많다. 농촌으로 들어가서 살아야겠다는 사람도 많다. 김 대표 주변에도 양조장 차리려고 준비하는 사람도 있다. 그럴 때 그가 하는 말이 있다.
“양조장 차리기 시작하면 준비하는 기간이 길잖아요. 그 사이에는 뭐 먹고 사니, 그러지 말고 나한테 와 나랑 같이 해. 필요하면 내가 지분을 줄 테니까 그러죠. 젊은 친구들 오면 같이 여기서 일하고 어우러져서 내가 월급 줄 돈이 없으면 자기도 같이 투자하든지 하여간 그 규모는 돼야겠죠. 그러면 자기가 자기가 농사도 짓고 그리고 술을 만들고 그 실험을 나랑 같이 하다가 이제 할 만하다 그러면 독립해 나가는 겁니다. 예전에 도재 직인 이런 거 있잖아요. 그런 문화를 살려보고 싶어요.”
우보주책이 생산하는 밀 막걸리김 대표는 양조장을 운영하며 수익에 그렇게 연연해 하지 않는 분위기다. 지금은 적자 운영이지만 거꾸로 계산하면 적자가 아니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내가 젊은 친구들이랑 술 먹으려면 한 달에 일 이백만원 써야죠. 젊은 층과 어울리는데 여기 오면 같이 어우러지잖아요. 내가 1200만원 까먹어도 나는 본전이잖아요. 지금 제 나이에 앞으로 한 10년만 더 크게 이렇게 고생 안 하고 고생 크게 일 벌이지 않고 같이 젊은 층에 어울려서 술도 먹고 뭐 이야기도 나누고 기분 나면 섹스폰도 한 곡씩 불어주고 이렇게 살면 사는 맛이 나잖아요.”
그의 양조장은 세미나실이 되기도 하고 막걸리 실습장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축제장이 되기도 한다. 젊은 친구들이 안주를 들고 찾아오면 1인당 2만원 내고 술 마시고 대화하고 놀다 간다. 양조장 한 켠에 그가 사용하는 섹소폰이 반작거리고 있다. 양조장이 용문역 앞이어서 술꾼들에겐 좋은 입지조건이다.
그렇다고 그가 마케팅에 문외한이 아니다. 그는 외환은행 근무 당시 프라이빗 뱅킹 전문가였다. 상류층 문화에 익숙하다. IMF 직후 01%에 해당하는 상류층을 상대로 뮤지컬 공연과 와인문화를 보급하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부자 대상 마케팅이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 대표가 만드는 지역특산주로 만드는 막걸리는 다섯 종류나 된다. 모두 양평산 농산물이다. 특히 양평에서 자라는 밀을 특화해서 양평밀 막걸리를 생산하고 있다. 밀 막걸리가 드문 것도 그가 다른 막걸리와 차별화시킨 장점이다.
밀이 아닌 재료는 흑미로 만든 흑미 마걸리가 있다. 보라색이 좋아서 선택한 쌀인데, 와인 향기가 감돌아 인기 상품이 되었다. 이 술들은 모두 2024년 초부터 생산된 것이다. 김 대표의 양조 역사는 짧지만 술에 대한 내공은 누구 못지 않다.
우보주책에서 생산하는 술 종류양평밀 소주를 대표 브랜드로
밀은 얼마전 까지만 해도 막걸리의 주재료였다. 1965년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통해 쌀로 술을 빚지 못하게 되면서 밀막걸리는 쌀막걸리를 대신했다. 30년 정도 우리 막걸리를 대표하다가 1990년대 중반 쌀막리가 부활하면서 자취를 감췄다.
김 대표는 사라져 가던 밀을 주요 상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대표는 대표 아이템으로 삼은 것이다. 그가 생산하는 막걸리들은 시중에서 볼 수 있는 저가형 막걸리가 아니라 프리미엄 밀 막걸리다.
막걸리는 도수가 8도에서 16도까지 있다. 통곡물을 사용해 은은한 산미와 밀도감이 높다. 뻑뻑한 느낌의 양평밀 막걸리는 단맛의 여운이 감돌아 여성들에게 인기가 높다. 단양주 느낌이 들지 않는 막걸리다. 이 막걸리들은 발효 숙성에만 2~3개월이 들어간다. 8도 막걸리는 술과 찌개미를 걸러내는 제성 단계 후에 2차 숙성 과정을 거쳐 3개월이 소요된다. 숙성기간 동안 탄산까지 만들어져 음식과의 페어링이 좋은 막걸리다. 13도 막걸리는 안주 없이 와인처럼 술만 즐길 수 있는 향미와 질감이 느껴진다.
이제 밀막걸리는 양평 지역을 넘어 애주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지만 김 대표가 내세우는 대표 브랜드는 53도 짜리 양평밀 소주다. 양평의 통밀로 만든 증류식 밀소주는 쌀 소주의 맛과 함께 밀의 특성을 같이 즐길 수 있는 술이다.
chinalee007@naver.com
내외뉴스통신, NBNNEWS
이점석 기자 chinalee007@naver.com
> 기사 바로가기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7383